뉴스, 신문을 보다 보면 코스피, 코스닥이란 용어를 많이 들어보았을 텐대요! 오늘은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드시 익혀야하는 기본 용어로 개념을 쏙쏙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코스피(KOSPI)란?
Korea composite stock price nidex의 약자로 '국내 종합주가지수'를 뜻합니다. 한국증권거래서(KRX)에서 운영하는 국내 증시 중 하나를 의미하며, 코스피는 대표적인 국내 주식 시장으로, 한국 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주식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코스피는 대한민국 주식 시장 중 대표적인 지수인 KOSPI 지수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코스피(KOSPI)는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대표적인 200개 기업의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코스피는 국내 주식 시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수로서 코스피가 상승하면 주식시장 전체적인 분위기가 상승세이며 하락한다고 하면 전체적인 분위기가 침체, 하락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코스피 시장에는 국내 대표적인 대기업들과 중소기업, 산업 분야별 다양한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코스피 시장은 국내 경제의 현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주식 투자를 통해 국내 기업의 성장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코스닥(KOSDAQ)이란?
코스닥은 코스피가 1 군이라면 코스닥은 2 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 증권 거래소(KRX)에서 운영하는 국내 주식 시장 중의 하나로, 기존 코스피 시장과는 달리 새로 설립된 선진 기술과 창업 기업들을 중심으로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주로 중견기업이나 우량한 중소기업들은 코스피 시장에 본격적인 상장을 하기에 여러 제약이 많아 힘든데 이로 인해 거기서 진입장벽이 좀 더 낮은 시장이 코스닥입니다. 코스닥 시장에는 앞으로 미래가 기대되는 기업들이 주로 등록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코스닥은 1996년 7월 1일에 개장하여, 기존에는 증권거래소(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어려웠던 신생 기업들에게 상장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그 후로도, 기존 코스피 시장에서는 거래되지 않은 중소형 기업이나, IT, 바이오, 환경 등 새로운 분야의 기업들이 코스닥으로 상장하기도 합니다. 코스닥 시장은 코스피 시장과 달리 기술주와 중소형주가 많이 상장되어 있으며, 기존 시장에서는 놓치기 쉬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상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많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의 투자 수요도 높아져,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조건은?
먼저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상장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편입니다. 회사를 설립한 지 3년 이상의 기간이 지나 여하며 기업의 규모가 자본금 300억 이상, 그리고 상장 주식이 100만 주가 넘어야 합니다. 코스닥 상장조건을 보면 일반적으로 회사 시총이 천억 대가 넘어가거나 기본 자본금이 250억 원이 넘으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
- 시장구성 : 코스피는 대표적인 대기업들과 중소기업, 산업 분야별 다양한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선진 기술과 창업 기업들이 중심으로 되어 상장되고 있습니다.
- 규모 : 코스피 시장의 시가 총액은 코스닥 시장보다 대략 3배 이상 큽니다.
- 거래방식 : 코스피 시장은 주식거래 금액에 대한 0.015%의 증권거래세가 부과됩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은 주식거래 대금에 대한 0.3%의 증권거래세가 부과됩니다.
- 상장기준 : 코스피 시장은 상장 기준이 높아 상장이 어려운 기업도 많이 있습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많이 상장되고 있습니다.
- 지수 : 코스피는 KOSPI지수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코스닥은 KOSDAQ 지수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로 인해,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다른 종류의 기업들이 주로 상장되고, 서로 다른 거래 방식과 상장 기준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스피(KOSPI) 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2023년 4월 16일 기준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로 3,886,328억 원입니다. 2위는 LG에너지설루션, 3위는 SK하이닉스 순으로 시가총액이 큰 기업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의 의미, 뜻, 정의를 정확히 이해 보는 시간을 갖아보았습니다.
'기초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방법. 영업이익, 매출액, 당기순이익, 영업이익률, 순이익률이란? (0) | 2023.04.17 |
---|---|
환율 변동 이유, 환율은 왜 실시간 변동할까? (0) | 2023.04.16 |
주가지수란? 정의, 세계의 주가지수 (0) | 2023.04.16 |
기초생활보장제도란? 2023 변경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신청서류 (0) | 2023.04.16 |
중위소득이란? 2023년 중위소득, 나의 중위소득 쉽게 확인하기 (0) | 2023.04.16 |
댓글